CS(Computer Science)/Network
-
네트워크 제대로 알아보자 - 여섯번째 이야기CS(Computer Science)/Network 2023. 11. 4. 18:00
들어가기 전에 지난 번 `다섯번째 이야기` 포스팅에 이어 Chapter 6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Chapter 6. 웹 서버에 도착하여 응답 데이터가 웹 브라우저로 돌아간다_불과 몇 초인 `긴 여행`의 끝 서버는 동시에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통신 동작을 실행하지만,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여러 클라이언트들의 상대를 처리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때마다 새로 서버 프로그램을 작동하여 서버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이언트와 1대1로 대화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서버 OS는 `멀티태스크` 또는 `멀티스레드`라는 기능에 의해 다수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함께 작동할 수 있는 데, 이 성질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기법이라 할 수 있다. `멀티태스크`는 OS가 갖추고 있는 기능의 하나로 복수의 태스크(프로그램)을 ..
-
네트워크 제대로 알아보자 - 다섯번째 이야기CS(Computer Science)/Network 2023. 11. 3. 18:00
들어가기 전에 지난 번 `네 번째 이야기` 포스팅에 이어 Chapter 5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Chapter 5. 서버측의 LAN에는 무엇이 있는가_방화벽과 캐시 서버의 탐험 웹 서버와 패킷을 주고 받을 때 라우터에서 패킷을 그대로 중계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이 방법은 주류에서 밀려났다. 그 이유 중 하나가 IP 주소의 부족이고 또 하나는 보안상의 이유이다. 사람이 하는일에는 실수가 있게 마련이므로 보안 구멍을 완전 막기는 어렵지만 방치 상태로 서버를 설치하는 것은 현명한 방법이 아니다. 그림과 같이 방화벽을 두는 방법이 일반화 되었다. `방화벽`은 네트워크를 외부에서의 공격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고안된 구조의 하나로서 이런 종류의 구조 중에는 최초로 등장한 것이다. 현재는 이 구조를 빠져나가..
-
네트워크 제대로 알아보자 - 네번째 이야기CS(Computer Science)/Network 2023. 11. 2. 18:00
들어가기 전에 지난 번 `세 번째 이야기` 포스팅에 이어 Chapter 4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Chapter 4. 액세스 회선을 통해 인터넷의 내부로_액세스 회선과 프로바이더의 탐험 인터넷 접속용 라우터는 MAC 헤더, PPPoE 헤더, PPP 헤더 세 가지를 붙이고 ADSL 모뎀에 패킷을 보낸다. (PPPoE의 경우) `PPP(Point-to-Point Protocol)`은 전화 회선이나 ISDN 등의 통신 회선을 사용하여 통신할 때 사용하는 구조이다. ADSL 모뎀은 패킷을 작게 분할하여 셀에 저장한다. 이때 ATM 이라는 통신 기술을 사용한다.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는 전화 회선의 개념에 기초한 구형 전화 기술의 연장선에 있는 통신 방식이라 생각하면 된다..
-
네트워크 제대로 알아보자 - 세번째 이야기CS(Computer Science)/Network 2023. 11. 1. 20:15
들어가기 전에 지난 번 `두 번째 이야기` 포스팅에 이어 Chapter 3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Chapter 3. 케이블의 앞은 LAN 기기였다_허브와 스위치, 라우터의 탐험 잡음의 영향을 억제하는 비책 중 LAN 케이블로 사용하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꼰 선쌍)`에 `꼼`이다. 잡음의 원인은 케이블 주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이다. 전자파가 금속등의 도전체에 닿으면 그 안에 전류가 발생한다는 성질이 있어 그 결과, 신호와 잡음의 전류가 뒤섞여서 신호의 파형이 변형되는데, 이것이 잡음의 정체이다. 케이블 안에는 여러 신호선들이 존재하고 인접한 신호선에서 누설되는 전자파도 있다. 전류가 흐르는 모든 곳에는 전자파가 생긴다라고 생각해도 된다. 이 전자파도 다른 신호선에 대한 잡음이 되는데, 이러한 영향..
-
네트워크 제대로 알아보자 - 두번째 이야기CS(Computer Science)/Network 2023. 10. 30. 21:03
들어가기 전에 지난 번 `첫 번째 이야기` 포스팅에 이어 Chapter 2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Chapter 2. TCP/IP의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만들어 보낸다_프로토콜 스택과 LAN 어댑터의 탐험 브라우저나 메일 등의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에는 TCP DNS 서버에 대한 조회 등에서 짧은 제어용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에는 UDP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운반할 때는 데이터를 작게 나누어 `패킷`이라는 형태로 운반한다. `패킷`은 분할된 데이터의 덩어리이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는 수십 바이트에서 수천 바이트 정도의 작은 덩어리로 분할되어 운반된다. `IP` 안에는 ICMP와 ARP라는 프로토콜을 다루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ICMP`는 패킷을 운반할 때 발생하는 오류를..
-
네트워크 제대로 알아보자 - 첫번째 이야기CS(Computer Science)/Network 2023. 10. 21. 22:19
들어가기 전에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원리' 책을 읽고 우리가 브라우저에서 페이지를 보게되는 짧은 몇 초의 시간동안 발생하는 일들을 알게되었고 나만의 방식으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Chapter 1. 웹 브라우저가 메시지를 만든다_웹 브라우저의 내부 탐험 URL을 입력하는 방식은 프로토콜 종류별로 다르다. HTTP 프로토콜로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경우 http://user:password@www.cyber.co.kr:80/dir/file1.htm - user: 사용자명(생략가능) - password: 패스워드(생략가능) - www.cyber.co.kr: 웹 서버의 도메인 명 - 80: 포트 번호(생략가능) - /dir/file1.htm: 파일의 경로명 FTP 프로토콜로 파일을 다운로드 하..